기사 메일전송
직장인 '재능거래' 인기몰이... "월 평균 수입 대체 얼마길래"
  • 기사등록 2020-08-06 18:30:36
기사수정

최근 취미와 재능을 거래하는 플랫폼을 통해 일하는 프리에이전트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.


취업포털 인크루트가 운영하는 바로면접 알바앱 알바콜이 성인남녀 53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, 3명 중 1명은 재능거래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고 이들 중 50.5%는 본인의 재능을 활용한 부수입을 창출하고 있었다.


▲ (자료제공=인크루트)


먼저 ‘재능거래 서비스를 활용한 경험이 있는지 질문한 결과 응답자 중 35.2%가 △활용한 경험이 있다라고 답했다. 성인남녀 3명 중 1명 이상은 재능거래 시장을 이용하고 있는 것. 교차분석을 통해 살펴보니 주로 이용하고 있는 연령대는 △20대(40.8%) △30대(29.3%)로 밀레니얼 세대가 중심축이었다.


그렇다면 일반 업체가 아닌 재능거래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?


이에 대해 물어본 결과 △각종 분야의 전문가를 찾을 수 있어서(22.3%)와 △내가 원하는 일정, 범위에 따라 용역 신청이 가능해서(16.6%)가 총 38.9%로 나타났다. 즉, 본인이 필요한 분야에 따라서 재능거래가 활성화되고 있다는 것. 이어 △전문 업체 대비 효율적인 비용’(16.6%)과 △업무에 활용하기 위해 배우려고’(16.6%) 등의 이유가 나타났다.


아울러 이들에게 재능거래 서비스를 활용하여 수익을 창출한 경험이 있는지 물어봤다. 그 결과 재능거래 경험자 중 50.5%가 재능거래로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고 응답했다.


이들이 재능거래 제공자로서 종사하고 있는 분야를 살펴봤다. 1위로 △교육, 강의 분야가 꼽혔다. 최근 취미, 특기 등 다양한 분야의 교육, 강의 니즈가 생겼고 이로 인해 재능을 활용한 개인 맞춤수업(클래스)이 나타났음을 보여준다. 이어 △(마케팅, 회계 등)비즈니스 컨설팅(17.1%)부터 △(영상, 미디어 등)콘텐츠 제작(11.2%) △’웹 개발, 디자인’(6.6%) △’미용’(5.9%) △’공예·제작’(3.3%)까지 전 분야에 걸쳐서 재능거래가 이뤄지고 있었다.


재능거래가 단지 부업의 개념이었을까? 이들에게 재능거래를 통해 일하는 이유를 물어보니 부가적인 수익창출(33.4%)이라는 목표 외에도, 본인의 능력을 자기계발(27.0%)을 하거나, 향후 일자리를 진로계획(20.7%)을 하기 위해 일한다고 답했다. 즉 재능 제공자 중 절반 이상은 수익창출이 아닌 본인의 역량개발을 위해 재능거래를 이용하고 있었던 것. 이는 곧 재능거래가 단순한 수익창출을 위한 임시직이 아니라 해당 분야의 전문가가 되기 위한 발판으로 조명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.


끝으로 재능거래를 통해 얻는 수익은 얼마나 되는지 주관식으로 입력받았다. 그 결과 이들은 월 평균 12.6회의 재능거래 경험이 있었고, 분야별로 차이가 있었지만 재능거래 평균 1건 당 24.3만원, 즉 월평균 306만원 가량을 보상으로 받는다고 답했다.

<저작권자 (c) KN NEWS, 무단 전재- 재배포 금지 >
관련기사
TAG
0
기사수정

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.

http://knnws.com/news/view.php?idx=9990
기자프로필
프로필이미지
  • 김지연 기자 김지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
  • 진실된 정보, 내일의 예측, 세상의 방향을 제시하는 언론 KN NEWS

    Knowledge-Network NEWS 를 의미하는 KN NEWS에는 특별한 정보가 존재합니다.
    시중의 뉴스에서 다루지 않는 내용이나 언론에서 쉽게 접할 수 없는 기사를 제공합니다.
    정치, 경제와 사회 그리고 '기업과 산업'을 심도깊게 취재하면서 특별한 정보를 제공합니다.
    세상의 현재를 알려주고 내일을 예측할 수 있게 만드는 정보의 요람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.
    시민들과 실시간으로 함께 하는 신문 KN NEWS가 있습니다.
    KN NEWS는 기사의 수준으로 신문사 소개를 대신하겠습니다.

나도 한마디
※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,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. 0/1000
모바일 버전 바로가기